2024.06.30 (일)

기상청 제공
창원특례시, 해안을 연계한 해양정책 기본계획 수립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뉴스

창원특례시, 해안을 연계한 해양정책 기본계획 수립

창원시 해양공간 밑그림 그린다.

창원시청

 

창원특례시는 해안지역 전체의 공간구조와 문화·관광·항만을 연계하여 해양자원의 종합적·장기적인 발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창원 해양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해양정책 기본계획은 ‘동북아 新 해양 중심도시’라는 목표 아래 창원특례시에서 처음으로 수립하는 계획으로, 닫힌 바다를 열린 공간으로 개방하고, 국제·문화·예술 공간의 민간투자 개방을 위한 ‘개방적 해양도시’, 바다와 원도심의 연결로 도심·공간의 재생을 위한 ‘재생적 해양도시’, 섬마을과 어촌뉴딜의 상생, 분산적 친수공간의 연계를 위한 ‘상생적 해양도시’ 마산만·진해만 수질 보전 프로젝트를 위한 ‘보전적 해양도시’, 국제 해양·레저·문화와 해양치유도시 육성을 위한 ‘국제적 해양도시’를 만들기 위한 밑그림이다.

먼저, 해양 기본구상 및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기존자원과 현재 추진 중인 사업을 연계한 ‘지역별 해양 거점구역’을 지정하여, 거점구역별 활성화 및 확장방안을 구상하고, 이를 통해 해안지역을 동남해안 국제 해양 관광벨트 거점 공간으로 조성할 것이다.

또한, 부두의 기능이 쇠퇴하고 있는 마산항에 대한 기능을 분석하고, 마산해양신도시, 돝섬, 3·15 해양누리공원과 임항선 그린웨이를 연계한 보행 중심의 친수 환경 거점을 계획, 원도심 문신미술관, 창동·오동동·어시장 등 역사문화거점을 연계하여 복합문화·관광 명소 조성 등 마산만 도시수변 공간의 전체적인 기능을 재검토하여 원도심 재생의 Grand design 기획의 기조를 마련하고, 육상교통(자동차, 자전거, 도보)·해상교통(요트, 유람선)·수륙양용교통·도심항공교통(UAM) 등 해양 도시기반 도로 교통 네트워크 구축, 마산만을 위한 수질 개선과 갯벌 등 해양환경 보존, 기후 변화에 따른 방재 기능의 융·복합 등을 포함하는 내용을 담을 계획이다.

둘째, 해안선을 연계한 관광특구 지정 적합성 및 대상지를 검토하여 진해군항제, 마이스산업 관광, 해양레저스포츠 대회 등을 연계하여 관광특구 지정을 위한 기초를 마련한다.

셋째, 사업 실행계획 및 관리운영계획을 수립하여 기본구상 및 계획, 관광특구 지정 대상지에 대해 단계별 개발계획, 재원조달방안, 사업시행방안, 관리운영계획 등에 대한 실행 및 관리계획을 수립한다.

창원 해양정책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인근 부산, 거제 등의 도시권과 연계하여 우리 시 해양정책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국가·공공 투자 및 민간투자를 활성화하며, 정부 부처별 국가정책에 발 빠른 대응 등 동북아 新 해양도시를 만들고자 한다.

홍남표 창원특례시장은 “내실 있는 해양정책 기본계획 수립에 최선을 다할 것이며, 무궁무진한 자원이 숨어 있는 깨끗하고, 특색있는 창원의 바다를 이제는 누구나 접근이 가능한 글로벌 랜드마크로 만들어 시민들의 품으로 돌려드리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