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기상청 제공
서울시 119구조대 4분마다 출동 26분마다 인명 구조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뉴스

서울시 119구조대 4분마다 출동 26분마다 인명 구조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2015년 119구조대 활동 내역 17일 발표

 서울시 119구조대는 2015년 한 해 동안 총 12만7,481번 출동해 1만9,912명의 인명을 구조했다. 이는 4분마다 출동해 26분마다 1명을 구조 하루 평균 349건을 출동해 55명씩 구조한 셈이다.

<교통사고 인명구조 / 사진제공 = 소방재난본부>

 출동건수는 전년(13만1,257건)보다 3,776건(2.9%) 감소했고, 구조 인원은 전년(2만1,593명)보다 1,681명(7.8%) 감소했다.

 위치추적으로 인한 출동(2만8,025건)이 전체 출동의 1/5을 차지해 가장 많았다. 구조된 시민 유형의 절반 가까이는 승강기(28.5%)와 잠긴 문(27.9%) 때문에 갇혀 있다가 구조된 경우였다.

 주요 13개 재난사고 유형을 작년과 비교해보면 자연재해가 178.0% 증가해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으며, 붕괴사고(7.1%)와 기타출동(5.0%)이 그 뒤를 이었다. 이는 2011년 이후 인적사고가 증가하고 폭우․폭설․한파 등 자연재해로 인명피해와 생활안전사고 출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회 전반적으로 안전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면서 시민생활 안전사고 출동건수는 2014년 47,729건→2015년 70,137건으로 46.9%가 증가했고, 도심 멧돼지 출현조치 96.8%․벌떼 출현조치 35%가 증가했는데 이는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생태계 교란 등이 원인으로 보여 진다.

<공사장 사고 인명구조/ 사진제공 = 소방재난본부>

 한강 자살시도자 구조인원은 2014년 396건→2015년 543건으로  37.1%가 증가했으나 CCTV 영상감시 관제출동시스템 사업 확대, 생명의 전화 사업 및 수난구조대 확대 등 선제적 대응을 통해 투신 전 교량 위 구조인원과 수중 구조인원은 증가했으며 생존자 구조 율은 소폭 감소하였다.

 투신 전 구조인원은 2014년 252건→2015년 377건(49.6%), 수중 구조인원은 2014년 144건→2015년 166건(15.3%)으로 증가했으며 투신자의 목숨을 구한 생존자 구조 율은 95%였다.(2014년 97.2%)

 작년 한해 투신 자 구조인원이 가장 많았던 곳은 마포대교(33.6%)였으며, 다음으로 한강대교(8.7%), 양화교(4.9%), 잠실교(4.7%)의 순이었다.

 장애인 안전사고는 2014년 283건→2015년 243건으로 14.1% 감소했고, 어린이 안전사고 역시 2014년 2,195건→2015년 1,154건으로  47.4% 줄어, 장애인 재난위기관리매뉴얼 제작 및 픽토그램 활용가이드 개발․보급, 소방안전지도상 장애인 거주지 표시, 시각장애인 재난대응 매뉴얼 및 장애인 안전 벨 음원개발 등 재난 약자에 대한 보호정책과 계층별(노인복지시설, 아동장애복지시설 관계인 및 학부모 등) 소방안전교육 강화 등 일련의 노력이 일정부분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분석하였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2015년 119구조대 활동 내역을 발표, 출동건수 및 구조인원을 원인별 장소별 자치구별 월별 시간대별 요일별로 분석해 소개하였다.

< 화재 출동 20.9%로 최다 구조인원 56.4% 승강기·잠긴 문에 갇혔다 구조 >

 원인별 : 위치추적이 2만8,025건(22.0%)으로 가장 많았으며, 화재출동 2만6,604건(20.9%) 동물구조 2만3,889건(18.7%) 문잠김 해제 1만872건(8.5%) 승강기 갇힘 구조 5,309건(4.2%) 교통사고 5,017건(3.9%) 순이었다.

 산악사고로 인한 출동은 총 1,475건으로 1.2%를 차지했는데,  북한산 479건(32.5%) 도봉산 397건(26.9%) 수락산 308건(20.9%) 관악산 161건(10.9%) 4개 주요 산이 전체의 91.2%를 차지했다.
 
 아울러 토·일요일에 산악사고 출동건수는 813건으로 55.1%를 차지했다.

 사고 원인별 구조인원을 보면, 구조인원이 가장 많은 사고는 '승강기 갇힘 5,674명(28.5%)이 구조됐다. 이어서 문 잠김으로 5,558명(27.9%) 교통사고 1,797명(9.02%) 산악사고 1,204명(6.05%) 화재 920명(4.62%) 순으로 나타났다.

< 아파트 (장소별) 강남구 (자치구별) 7월 (월별) 토요일 (요일별) 최다 출동 >

 장소별 : 119구조대가 가장 많이 출동한 장소는 아파트로 1만 9,996건(15.7%)이었다. 이어서, 빌라 1만9,698건(15.5%) 주택 1만5,079건(11.8%) 빌딩 1만2,786건(10.0%) 도로 12,628건(9.9%) 순이었다.

 자치구별 : 강남구 9,389건(7.4%), 서초구 7,485건(5.9%), 영등포구 6,613(5.2%), 노원구 6,322건(5.0%) 순으로 출동건수가 많았으며, 중구가 3,031건(2.4%)으로 가장 적었다.

 월별 : 8월 1만4,342건(11.3%) 7월 1만3,157건(10.3%) 9월 1만2,909건(10.1%) 순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여름에 많이 출동한 것으로 분석됐다.

 시간대별 : 16시~18시 1만3,701건(10.75%) 18시~20시 1만3,673건(10.73%) 14시~16시 1만3,612건(10.68%)순으로, 상대적으로 오전보다 오후 시간대에 더 많이 출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일별 : 토요일 1만9,153건(15.02%) 금요일 1만8,356건(14.4%) 월요일 1만8,300건(14.36%) 순으로 출동건수가 많아 주중보다는 주말에 더 많이 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요일이 1만7,543건(13.76%)으로 가장 적었다.

 한편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매년 늘어나는 생활안전 출동('14년 47,729건→'15년 70,173건, 47.0% 증가)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출동이 많은 소방서에 시범적으로 시민생활 안전지원센터를 운영 할 계획이며, 이외에도 지속적으로 1급 인명구조사 양성을 통해 구조대원의 역량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권순경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진 만큼 119구조대의 장비를 지속적으로 보강하고 교육·훈련을 통해 구조역량을 강화해 시민이 안전한 서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이외에도 소방이 가진 역량을 집중해 사회적 약자의 안전을 빈틈없이 보호 하고 골든타임 내 신속한 인명구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하였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