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기상청 제공
광주광역시, 다중이용시설 레지오넬라균 집중검사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뉴스

광주광역시, 다중이용시설 레지오넬라균 집중검사

백화점‧쇼핑센터‧병원‧노인복지시설 등 175개소 대상

광주광역시, 다중이용시설 레지오넬라균 집중검사

 

광주광역시는 여름철 레지오넬라증 감염 예방을 위해 7월부터 다중이용시설 175개소를 대상으로 레지오넬라균 집중 검사를 실시한다.

레지오넬라증은 제3급 법정 감염병으로, 오염된 물에서 증식한 레지오넬라균이 에어로졸 형태로 흡입돼 폐렴·독감을 일으킨다. 대형건물의 냉각탑‧급수시설 등에서 주로 발생하고, 냉방기 사용이 급증하는 하절기에 환자 발생이 집중된다.

주로 50세 이상의 연령층에서 발열·기침·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건강한 사람은 비교적 경미한 증상인 독감형으로 발생하지만 의료기관 등에서 면역력이 매우 약화된 환자가 레지오넬라 폐렴에 걸리면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레지오넬라균 검사는 보건소에서 직접 다중이용시설을 방문해 환경검체를 채취해 광주보건환경연구원에 검사 의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레지오넬라균이 기준치 이상 검출되면 청소‧소독 조치 후 재검사를 실시하는 등 집중 관리할 계획이다.

지난해 광주보건환경연구원이 실시한 레지오넬라 오염도 조사 결과, 총 947건 중 8.3%에 해당하는 79건에서 균이 검출됐다. 시설별로는 목욕장 등 온수공급시설이 11.4%로 가장 높았고, 대형건물의 냉방시설 운영을 위한 냉각탑이 11.1%, 냉수시설이 2.2% 순으로 나타났다.

레지오넬라증 예방을 위해서는 다수의 시민이 이용하는 병원, 쇼핑센터 등의 냉각탑은 주기적인 청소와 소독이 중요하다. 특히 온수공급시설은 레지오넬라균이 생존할 수 없는 60℃ 이상으로 유지해 균 증식을 억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송혜자 공공보건의료과장은 “여름철 다중이용시설에서 냉방기 사용으로 인해 주로 발생하는 레지오넬라증 예방을 위해 다중이용시설의 관리자는 냉각탑, 급수시설 등에 대한 철저한 소독 등 위생관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