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기상청 제공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생색은 정부 부담은 도공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뉴스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생색은 정부 부담은 도공

도로공사 부채 2018년 28조, 2023년 36조로 8조나 증가할 예정

고속도로 공공성 강화에 따른 통행료 감면 정책으로 통행료 수입은 계속 줄어

도로공사는 정부에 보전요청 했으나, 예산부족 등

 

도로공사 부채 201828, 202336조로 8조나 증가할 예정

고속도로 공공성 강화에 따른 통행료 감면 정책으로 통행료 수입은 계속 줄어

도로공사는 정부에 보전요청 했으나, 예산부족 등의 사유로 보전해주지 않아

미납통행료도 증가, 통행료 수입 감소에 따른 근본적인 대책 마련 필요

 

주승용 부의장 프로필 사진.jpg

 

 또한 <한국도로공사 2019~2023년 중장기 재무계획> 에 따르면 2023년 도로공사 부채는 362,447억 원으로 현재보다 약 6억 원이나 증가할 예정이다.

 현재 도로공사는 공공성 강화를 이유로 2017년 추석부터 명절통행료 면제를 포함해 다양한 할인 정책을 실시해 많은 국민들에게 통행료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그러나 정부 보전이 없어 재정 부담을 전부 자체적으로 감당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도로공사에서 제출한 <최근 3년간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및 감면 현황>에 따르면 20162,954, 20173,428, 20183,879억 원으로 통행료 감면액이 매년 증가하고 있고 올해 8월까지도 2,454억 원에 달하는 통행료 금액이 감면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행료 감면액이 늘어나는 만큼 도로공사의 통행료 수입이 줄고 있어, 도로공사는 정부에 연도별 PSO(Public service obligation, 공익서비스비용) 2016250억 원, 2017250억 원, 2018280억 원씩 보전 요청했으나 예산이 부족하다는 사유로 보전해주지 않는 상황이다.

 또한 도로공사로부터 받은 <최근 3년간 고속도로 미납통행료 현황>을 살펴보면, 2014348(887만 건)에서 2018466(1,816만 건)으로 미납통행료 건수와 금액 모두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통행료 수입 감소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 김승호 기자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