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2 (일)

기상청 제공
제6차 한-페루 고위정책협의회 개최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제6차 한-페루 고위정책협의회 개최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인 페루와 인프라 및 신성장 산업을 비롯한 다양한 실질 협력 강화 논의

페루고위정책협의회.jpg

[사진 제공 - 외교부]

 

 

 

6.11.(화)-13.(목)간 페루를 방문한 윤순구 외교부 차관보는 6.12.(수) 「포마레다(Pomareda)」페루 외교부 차관과 제6차 한-페루 고위정책협의회를 개최하고, △양국관계 평가 △경제 및 실질협력 증진 △영사 및 다자 협력 △한반도 및 중남미 지역 정세 등을 논의하였다.

 


한-페루 고위정책협의회는 양국 간 현안을 점검하고 전반적인 양국관계 발전 방안을 협의하는 고위급 협의체로서 2006년 개설

 

양측은 1963년 수교 이래 양국이 △한-페루 FTA 발효(2011년)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수립(2012년)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우호협력 관계를 발전시켜왔음을 평가하고, 고위급 인사교류 및 정례협의체 활성화 등을 통해 양국관계를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다.

 

양측은 한-페루 FTA 발효 이후 양국간 교역이 확대되어 한국은 페루의 세계 4위 교역국으로, 페루는 한국의 對중남미 4위 교역국으로 부상하였음을 평가하고, 통상・투자 협력의 제도적 기반을 내실화해 나가기로 하였다.

 


윤 차관보는 금년 7월 리마에서 개최되는 태평양동맹(PA) 정상회의에서 한국의 PA 준회원국 가입 협상의 조속한 개시가 합의될 수 있도록 현 PA 의장국인 페루 정부의 적극적 지지를 요청하였고, 포마레다 차관은 관심과 지지를 약속 

 

윤 차관보는 페루 정부가 추진 중인 △「친체로 국제공항 건설 사업」△「리마 지하철 3‧4호선 건설 사업」등 인프라 건설 사업에 우리 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관심을 당부하는 한편, 페루에 투자진출한 우리기업의 애로사항을 전달하고 원만히 해결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하였다.

 


우리 기업 컨소시엄,「친체로 국제공항 건설사업」(2019-24년, 508백만불) 입찰 참여 중 /「리마 지하철 3‧4호선 건설 사업」(약 100억불 규모) 2019년 하반기 입찰 공고 예정

 

아울러, 양측은 전자정부, 스마트시티, 지능형 교통체계(ITS) 등 신성장분야로 협력의 외연을 확대하는 데에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기로 하였다.

 

윤 차관보는 최근 페루를 방문하는 우리 국민이 증가하여 우리 국민과 관련한 사건‧사고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하고, 사건・사고 발생 시 우리 국민의 안전 확보를 위해 페루 관계당국의 신속하고 지속적인 협조를 요청하였다.

 

포마레다 차관은 페루의 OECD 가입 노력을 설명하며 한국 측의 지속적인 지지를 요청하였다. 윤 차관보는 양국이 UN, FEALAC 등 국제무대에서 긴밀히 협력해 왔음을 평가하고 페루의 OECD 가입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였다.

 

윤 차관보는 최근 한반도 정세에 대해 설명하고, 현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2018-19년)인 페루 정부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및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을 지속적으로 지지해준 데 대해 사의를 표하였다.

 


포마레다 외교차관은 앞으로도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한국 정부의 노력을 일관되게 지지할 것이라는 적극적인 입장을 표명

 

포마레다 외교차관은 베네수엘라 사태 등 최근 중남미 정세에 대해 설명하고, 베네수엘라 이주민의 인도적 위기 해결을 위한 한국 정부의 지원에 대해 사의를 표명하였다.

 
동 일 오후「포폴리시오(Popolizio)」페루 외교장관과 조준혁 주페루한국대사는「베네수엘라 이주민 인도적 지원 MOU」를 서명하였으며, 동 MOU를 바탕으로 양국은 페루 내 베네수엘라 이주민들의 취약한 여건 개선을 위해 50만불 규모의 양자 사업*을 실시할 예정
   

한편, 윤 차관보는 6.12(수) 오후 포폴리시오 외교장관을 예방하여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한 실질협력 증진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번 고위정책협의회는 2014년 제5차 협의회가 한국에서 개최된  이후 약 5년 만에 개최되었으며, 양국 관계 전반을 점검하고 미래지향적 협력증진 방안을 모색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