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9 (토)

기상청 제공
10대 닷새에 네 명씩 자살 3년 사이 자살시도율 100% 증가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뉴스

10대 닷새에 네 명씩 자살 3년 사이 자살시도율 100% 증가

10대 닷새에 네 명씩 자살 3년 사이 자살시도율 100% 증가

자살위험군 초중교생 2.5배로 늘고 정신질환 진료는 42% 늘어

K-방역 청소년 심리 방역으로 확대돼야

- 지방 학생은 심리 방역에서도 소외, 위클래스 구축률 평균 이하 -

- 정신과의사도 72%가 수도권과 광역시에 집중돼 -

- 정신질환 진료 받은 전남 10대 중 33%는 원정진료 위해 광주로, 수도권으로 -

[보도참고용 사진] 서동용 (2).jpg

 

2016년에서 2019년 사이, 10대 청소년의 자살시도 수가 100% 증가하고 자살율은 20.4%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에서도 자살위험군 초중고 학생이 2.5배로 증가했으며 정신질환 진료 인원도 4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서동용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신질환 진료를 받은 10대가 16년 5,836명에서 19년 8,323명으로 42% 증가한 가운데 우울증 70%, 공황장애 49%, 불안장애 29% 순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와 함께 진료비도 251억에서 474억으로 약 89% 늘어났다.

표1. 2016년 - 2019년, 10대 정신질환 진료 현황

구분

진료실인원(명)

진료비(천원)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우울증

22,540

25,657

37,234

38,375

12,872,717

15,061,397

27,407,627

28,199,559

불안장애

14,126

15,003

18,239

18,273

3,894,994

4,544,532

6,286,500

6,791,241

수면장애

4,167

4,196

4,813

4,803

1,029,738

1,038,107

1,518,352

1,959,922

식사장애

591

661

697

623

738,012

821,527

930,091

955,862

강박장애

3,049

3,133

3,390

3,261

1,993,568

2,033,274

2,412,037

2,456,713

공황장애

1,966

2,229

2,928

3,190

704,535

901,504

1,246,519

1,444,415

화병

508

558

616

531

126,993

167,303

232,889

213,532

심한스트레스에대한반응및적응장애

10,372

11,052

12,919

13,047

3,086,179

3,483,906

4,567,369

4,722,207

습관및충동장애

1,217

1,150

1,237

1,129

675,318

758,319

851,747

743,682

합계

58,536

63,639

82,073

83,232

25,122,054

28,809,869

45,453,131

47,487,133

[출처: 보건복지부 제출 자료]

자살 관련 지표에서도 증가 추세가 뚜렷하다. 정신과 진단검사는 아니지만 학생들의 정서‧행동 특성을 검사하여 관심군‧위험군으로 관리하고 상담센터, 병원 같은 전문기관으로 2차 조치를 실시하는 데 근거가 되는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에서 2016년 자살위험군 초중고 학생이 8,691명에서 22,128명으로 2.5배가 되었다.

표2. 2016년 - 2019년, 10대 자살 관련 지표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자살위험군(단위 명, 초중고)

8,691

16,940

21,438

22,128

자살시도수(센터급 응급내원 수, 10대)

김승호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