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국립순천대 2024년 스마트팜 기술개발사업 9개 연구과제 선정

‘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개발사업’ 및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등 9개 과제 선정, 연구비 30억여 원 수주
기사입력 2024.05.09 08:17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240508_2024년 스마트팜 기술개발사업 9개 연구과제 선정_대학전경.jpg

    국립순천대(이병운 총장)는 최근 발표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주관 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개발사업과 농촌진흥청 주관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에 총 9개 과제가 최종 선정됐다.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개발사업은 스마트팜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자 2세대 스마트팜의 현장 실증·고도화 및 차세대 스마트팜 융합·원천기술 개발을 집중지원한다.

    해당 사업에서 국립순천대는 스마트축사 환경 및 사양관리 통신기술 검증 및상용화 (스마트농업전공 이명훈) 스마트축사 구축을 위한 복합환경 멀티센싱 통합관리 시스템개발(스마트농업전공 이명훈) 지능형 분무경 수경재배시스템 개발 및 재배기술최적화 (원예학과 이범선) 3개 연구과제가 선정됐다.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신농업기후변화대응체계구축)은 대내외 농업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현장 애로기술 해결, 미래선도 유망 기술개발 및 실용화촉진 등 당면현안 사항에 대한 해결을 위해 마련됐다. 국립순천대학교는 6건의 과제가 사업에 선정되어 지역스마트팜 육성을 위한 혁신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각 연구 과제는 기후변화에 따른 돌발 및 주요 잡초의 발생실태 조사 및 영향·취약성 평가(2단계) 기후변화에 따른 식량작물(서류, 잡곡 등)의 재배적지 한계이동선과 저온요구도 실태조사 및 영향 평가(2단계) 이상기상에 따른 주요 식량작물 피해량 실태조사 및 피해저감 영농기술 개발(2단계, 이상 바이오한약자원학과 국용인) 기후변화로 심화되는 병해충의 특성 평가 및 저항성 평가체계 구축 연구(1단계, 농생명과학과 박숙영) 농장맞춤형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 고도화 연구(2단계, 인공지능공학부 심춘보) 고온기 젖소의 스트레스 개선 조건 구명 및 생산성 향상 기술 개발(학술연구교수 김선호) 이다.

    사업에 선정된 연구책임자들은 2~4년간 총 30억여 원을 지원받아 2세대 스마트팜 모델의 지역, 생산규모, 품목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제 농업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산업화를 지원하며(이상 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개발사업),선행 사업에서 개발한 기초·기반 정보와 국가 고유 계수, 탄소 감축을 위한 농업기술 등을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게 모형화하고 기술 정확도와 편의성, 실용성을 높여 국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연구를 진행한다.

    국립순천대 여현 산학협력단장은 국립순천대 교수진의 뛰어난 연구 역량에 기반한 연구비 30억여 원 수주를 기반으로, 글로컬30 사업 특화 분야인 그린스마트팜농업 과학기술 연구 개발을 선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동부취재본부 김승호 기자

    중국Insight

    중국Insight

    backward top home